나라는 착각 The Self Delusion-그레고리번스, 홍우진옮김
책소개 :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망상이다”
세계적 신경과학자가 뇌 실험과 서사 구조로 풀어낸
자아, 기억, 믿음, 미신의 기원
거울을 들여다보라. 무엇이 보이는가?
평생 보아온 친숙한 얼굴이 그곳에 있다.
바로 당신이다. 거울에 비친 내 모습처럼 우리는 자신을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한다.
그러나 신경과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그레고리 번스는 하나의 ‘당신’은 없다고 말한다. 우리는 몸이라는 실체를 갖고 있지만, 그 안에 있는 자아는 매우 불안정하며 다양한 얼굴을 갖고 있다.
《나라는 착각》은 신경과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을 오가며 ‘자아 정체성’이란 개념이 실은 뇌가 만들어낸 허구임을 밝힌다.
자아는 수많은 사건 중에서 특정한 부분을 편집하고 맥락을 이어붙인 기억의 집합이다. 즉, 내가 나와 세상에 들려주는 ‘나에 대한 편집된 이야기’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무수히 많은 자아를 가지고 살아간다.
역설적으로 자아가 허구라는 것을 인정하는 순간,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자아가 생성되는 뇌의 메커니즘을 알면 ‘내가 원하는 나’가 될 수 있다. 바로 그 해답이 이 책에 있다
책소개 :
어느 화창한 오후, 16살의 소년이 고속도로와 평행한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었다. 고속도로를 달리던 트럭이 갑자기 경로를 이탈해 소년을 덮쳤다. 트럭의 운전사는 소년과 부딪치려는 마지막 순간 가까스로 핸들을 꺾었지만 트럭은 그대로 전복되고 만다. 충격으로 운전사는 트럭 밖으로 튕겨 나왔고 소년은 도로 아래로 굴러떨어졌다. 정말 운 좋게도 두 사람 모두 목숨을 건졌다. 그런데 이 사고를 당한 소년의 증언이 흥미롭다.
나는 자전거를 타고 있는 내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나 자신의 뒤 위쪽에 떠 있었다. 운전자가 나를 치지 않으려고 마지막 순간에 방향을 틀 때, 나는 그의 눈에 드러난 공포를 볼 수 있었다. 운전석이 내 바로 앞에 있는 언덕에 세게 부딪히면서 트럭은 느리게 잭나이프처럼 접혔고, 거대한 먼지구름이 일었다. 몇 분 후에 먼지구름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언덕 위에 튕겨 나온 나와 운전사의 모습이 보였다. 나는 그들에게 달려갔다. 둘 다 살아 있었고, 고통에 신음하고 있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도착할 때까지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다만 트럭 운전자가 목이 마르다며 물을 달라고 했기 때문에 내 물병을 준 기억은 있다. 얼마 후, 한 남자가 내게 다가와서 말했다.
“꼬마야, 내가 언덕 위에서 모든 걸 다 봤어. 네가 죽은 줄 알았다.”
잠시 후, 구급대원들이 도착해서 두 사람을 데리고 갔다.
그레고리 번스라는 이름을 가진 이 소년은 자라서 미국 최고의 뇌 과학자가 된다. 그는 지난 20여 년 동안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을 활용해 뇌의 의사결정 메커니즘과 보상 반응을 연구했다. 특히 도박, 사랑, 권력과 같은 보상에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fMRI로 추적한 과학자로 유명하다. 그의 연구는 관찰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뇌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저자는 신간 《나라는 착각》에서 자동차 사고 당시, 자전거를 타고 있는 자기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보면서 트럭이 영화의 슬로우 모션처럼 자신을 덮치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이 마치 다른 사람에게 일어난 것처럼 느꼈다. 흔히 초자연적 현상이라 불리는 유체 이탈을 경험한 것이다.
뇌과학자이자 정신과 의사답게 그는 자신이 겪은 경험을 ‘비인격화(depersonalizatioin)’라는 증상으로 설명한다. 비인격화는 ‘꿈같고, 안개 같고, 생기 없는, 또는 시각적으로 왜곡된’ 경험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으로 ‘해리성 정체성 장애’라고도 부른다. 희귀한 경험 같지만 1995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있었던 조사에 따르면 지역 주민의 19%가 1년 동안 비슷한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변할 만큼 기억의 왜곡은 흔한 현상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처럼 인간의 기억은 그리 믿을 게 못 되며, 따라서 기억의 집합체인 자아 또한 일종의 망상에 불과하다는 도발적 주장을 한다.
뇌 속에 감춰진 자아의 기원을 찾아서
저자는 자아를 수많은 사건 중에서 특정한 부분을 편집하고 맥락을 이어붙인 기억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 즉, 내가 나와 세상에 들려주는 ‘나에 대한 편집된 이야기’다. 그런데 기억은 다큐멘터리의 기록과는 사뭇 다르다.
그 누구도 기억을 있었던 그대로 재생할 수 없다. 기억의 작은 조각들을 재생할 수 있지만, 그 기억들은 단지 수많은 순간들의 파편일 뿐이다. 우리의 엉망이고 복잡하고 모순된 과거 자아들은 하이라이트 릴로 선별되어 뇌에 저장된다. 그리고 우리 인간은 이 조각들에 의미를 부여해, 현재의 자아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듯한’ 서사 구조를 만든다.
- 머리말,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망상이다
이러한 기억과 압축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나라는 이야기(자아)’는 태생적으로 허구일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자신을 단일한 존재로 인식한다. 이것 또한 망상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은 매일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한 망상이라 할 수 있다. 어제의 당신은 오늘의 당신, 내일의 당신과 아주 비슷해서 오랜 시간이 지나야만 세 자아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다. 10년 전 사진을 꺼내 보자. 10년 전의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보일 것이다. 사실 10년 전과 비교해 우리는 이미 다른 사람이 됐다. 어릴 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일어나는 변화들은 매우 심오해서 정신적, 신체적으로, 심지어 세포 수준에서도 과거의 당신과 현재의 당신은 꽤 다른 존재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우리를 하나의 단일한 존재라고 생각하며 살아갈까? 저자는 오랜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의 뇌가 생존을 위해 자아를 발명했다고 말한다. 책에서는 최신 계산신경과학과 다양한 심리 실험을 통해 우리 뇌가 자아를 만들어내게 된 이유와 그 과정, 그리고 우리 안에 존재하는 다중 인격을 살펴본다
#피플그룹 #peoplegroup #즐기는삶 #조솁
#익스트림스포츠 #스쿠버다이빙 #PADI #NAUI #NASE #트레이너
#사람중심 #people #조경시설물 #조형물 #landscape
#지퍼쌤 #zipper #독서 #캠핑 #people&roof #NFT
#파이어족 #경제적자유 #내 직업은 부자
#https://zipper.tistory.com #https://blog.naver.com/pdjo
#아무것도 하지않으면 아무일도 않일어난다.
'영화, 음악,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든포텐셜 HIDDEN POTENTIAL - 애덤그랜트, 홍지수옮김 (1) | 2024.04.24 |
---|---|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프리드리히니체, 김신종옮김 (0) | 2024.04.22 |
명상이란 무엇인가 - 오쇼강의, 정근호옮김 (0) | 2024.04.15 |
퓨쳐셀프 Future Self-벤저민하디, 최은아옮김 (0) | 2024.04.11 |
거인의 노트-김익한 지음 (0) | 2024.04.08 |